본문 바로가기
교육/미술교육론

초등학교 3,4학년의 미술 표현 특징

by ⓨⓐⓝⓖ 2023. 4. 3.
반응형

 초등학교 3~4학년은 상징적 표현과 사실적 표현이 함께 나타나는 과도기적 단계로, 이 시기 학생들의 미술 표현의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주제 표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아동은 주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대상과 대상 관계성을 이해할 수 있고, 공간 인식 능력이 높아지면서 주제 표현 능력이 발달한다.

 주제와 연관성 있는 소재를 의도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표현 대상을 세부적으로 묘사하게 되면서 소재 수가 완만하게 증가한다. 또한 여러 가지 알고 있는 것을 나열적으로 표현하던 저학년 시기를 벗어나면서 표현 의도를 가지고 주제에 맞는 소재를 선택하여 표현한다.

 

 인물 표현 인물을 표현할 때 팔과 다리, 손과 발을 갖추어 표현하며, 팔과 다리의 움직임, 허리나 목의 움직임 등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인물의 동세 표현을 한다. 또한, 인물의 방향성에서 정면 표현과 측면 표현이 많이 나타나며 상징적 표현과 사실적 표현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인물을 만화식으로 표현하는 경향도 나타나며 인물의 표정과 옷의 표현이 다양해지고 세부 묘사에 집중하면서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공간 표현 기저선의 비중이 현격히 감소하고, 상하 공간의 표현의 비중이 높아진다. 상하 공간 표현은 공간의 깊이를 표현하는 초보적인 단계라 할 수 있다. 상하 공간 표현이나 그 비중이 저학년보다 늘어나기 시작하고 중첩 표현의 비중이 증가한다. 중첩 표현이란 뒤의 사물이 앞의 사물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표현하는 것으로, 중첩 표현을 하는 것은 학생들이 대상이나 사물의 관계, 앞과 뒤의 공간에 대한 깊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음을 뜻한다.

 

 색채 표현 하늘은 파란색, 나뭇잎은 초록색 등으로 표현하는 개념적인 색의 사용이 변화하여 하늘의 색을 관찰하여 파랑, 하양, 회색 등의 다양한 색으로 표현하며, 나뭇잎의 색도 연두, 초록, 청록 등으로 표현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색의 종류와 색의 혼합에 관심을 보이고 이를 활용해 보면서, 개념적인 색 사용에서 탈피하여 사실적인 색을 사용한다.

 

 입체 표현 입체 표현은 평면 표현에서 나타난 형태의 특성을 입체 재료를 이용하여 반입체적으로 나타내거나 완전 입체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인물 표현은 사실 표현에 대한 관심이 커져 인물 표현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몸통과 머리, 팔의 비율이 점차 사실적으로 되고, 부분보다 전체적인 형태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한다. 다양한 재료를 세우거나 붙이거나 쌓아서 입체 표현을 하면서 3차원의 형태의 변화를 탐색하고 의도적으로 표현한다.

 

 감상 능력 미술 작품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 색, 형태 등을 중점적으로 탐색하고 사실적인 작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경험하는 대상 또는 주제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자신의 개인적 경험과 관련지어 미술품을 설명하고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미술품의 이론적 탐색보다는 미술품과 관련된 체험적 놀이 형식의 탐색 활동이 효과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