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드너는 어린이의 감상 능력의 발달 단계를 지각의 단계, 상징인식의 단계, 사실적 단계, 탈 사실적 단계, 예술적 위기의 단계 등 5단계로 구분 제시하고 있다.
지각의 단계는 사물을 직접 지각하는 단계로 사물의 공간적 형태만을 구별하는 시기이다.
상징인식의 단계는 초등학교 3,4학년이 속하는 사실적 단계 이전에 유아기 아이들이 거치는 단계이다.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세상들은 그림 속에서 기호 및 상징들로 표현되어 있고 이를 현실과 대입해 상징을 파악하는 것이 이 단계의 아이들이 보여주는 특징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단계의 아이들은 그림을 볼 때 그림의 완성도나 화가를 보기보다 내용을 중심으로 보게 된다.
사실적 단계는 조형적 대상을 받아들이는 데에 있어 묘사적 규칙과 전통적 개념을 중시하게 된다. 지각의 능력에 있어서도 사실 지향적 관점을 지니기 때문에 자칫하면 사진과 같은 사실적인 작품을 매우 선호해서 환상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은 경시하는 경향을 갖기 쉽다. 이 단계에서 교사의 역할은 어린이들이 이러한 사실주의적 고정 관념에 고착되는 것을 막고 잠재하는 개성과 창의성을 흥미 있는 방법으로 격려하는 것이다.
탈 사실적 단계는 다양한 미적 특성에 관심을 가지고 미묘한 표현이나 진부하지 않은 색다른 특성들을 지각하게 된다. 지금까지 주제에 대한 지배적인 관심 대신에 이 시기에는 어떻게 나타낼 것인가 하는 재료와 기법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타인의 개성도 인식하고 인정하며 예술작품들의 각기 다른 표현 양식에도 관심을 보이고 감수성도 예민해진다.
예술적 위기의 단계는 미술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떨어지면서 다른 활동으로 분산되고, 비판적인 인식과 환경에 대한 지각 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의 표현에 자신이 없어지고 다른 친구의 작품을 비판하려 한다. 이 시기는 개인의 성격 유형이 분화되는 시기로 감성적 특성보다 논리적인 특성이 우세한 시각형의 사람은 과학에 오히려 관심을 보이며, 감성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촉각형인 학생들은 개성적인 예술에 몰입하기도 하는 단계이다.
가드너의 관점에서 비추어보면, 사실적 단계는 그림만이 아니라 모든 미적 대상에 대한 규칙과 전통적 개념을 고수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어린이는 표현 기능에 있어서는 아직도 상징적 표현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지각의 능력에 있어서는 엄격한 사실 지향적 관점을 가진다. 따라서 작품의 선호도 사실적인 작품을 매우 존중하고 선망하는 심리를 가진다. 환상적이거나 상상적인 표현을 우습다고 여기거나 경시하려 한다. 이 지각 단계의 어린이들에게 이러한 사실 주의적인 고정 개념을 깨고, 잠재하는 개성과 창의성을 흥미 있는 방법으로 고무하는 것이 바로 유능한 교사의 과제인 것이다.
'교육 > 미술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웬펠드의 미술교육이론 (0) | 2023.04.03 |
---|---|
펠드만의 미술 비평 지도과정 (0) | 2023.04.03 |
로웬펠드의 표현 능력 발달 단계 (0) | 2023.04.03 |
초등학교 5,6학년 미술 표현 능력의 발달 (0) | 2023.04.03 |
초등학교 5, 6학년의 미술 표현 특성 (0) | 2023.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