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비평이란 작품을 여러 관점으로 분석하고 감상하여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평가하는 활동을 말한다. 펠드만은 작품이 부분적, 단계적으로 창조되듯이 작품 비평에 있어서도 서술, 분석, 해석, 평가의 순서로 전개해 갈 것을 주장하였다. 다음은 각 단계에 대한 설명과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발문이다.
서술 단계에서는 작품을 처음 본 느낌과 눈에 보이는 것을 이야기하며 작품에 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인다. 전체적 느낌에 대해 작품에 관한 첫 느낌이 어떠한지 묻고 직관적 인상에 대하여 어떤 것이 보이는 지에 대한 발문을 한다.
분석 단계에서는 작품에 사용된 조형 요소와 원리 및 구도를 탐색하고, 표현 방법과 재료와 용구를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화면의 부분적 검토를 화면의 사물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구도를 묻는다. 조형 요소와 원리 발견을 위해 어떤 색이 사용되었는지 묻는다. 표현 방법의 특징을 알기 위해 어떤 기법을 사용했는지 묻고 재료 용구의 사용과 효과에 대해 어떤 재료와 용구를 사용했는지, 그 효과는 어떠한지 발문한다.
해석 단계는 작품의 의도와 주제를 생각해 보고, 작가가 전달하고자 했던 의미를 찾아 해석한다. 작품의 의미를 미술가가 말하려는 것이 무엇인지로 묻는다. 작가의 표현 의도를 미술가는 왜 이런 색이나 형, 기법들을 사용하였는지 묻는다. 어떤 시대에 그려졌는지, 미술가의 생애는 어떠했는지 발문을 통해 시대 상황도 알아본다.
평가 단계에는 잘된 점이나 아쉬운 점을 찾아보고, 종합적인 자기 평가를 한다. 즉, 작품이 지닌 가치를 자신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설명한다. 작품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작품의 가치 판단을 위한 발문을 한다. 이 작품이 좋은가, 싫은가 선호에 의한 판단을 하고 가치의 수용과 내면화를 이룬다.
'교육 > 미술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스너의 미술교육이론 (0) | 2023.04.03 |
---|---|
로웬펠드의 미술교육이론 (0) | 2023.04.03 |
가드너의 감상 능력 발달 단계 (0) | 2023.04.03 |
로웬펠드의 표현 능력 발달 단계 (0) | 2023.04.03 |
초등학교 5,6학년 미술 표현 능력의 발달 (0) | 2023.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