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체육교육론

무스카 모스톤의 수업 스펙트럼

by ⓨⓐⓝⓖ 2023. 4. 4.
반응형

 학습 과제를 연습하는 학습 방식은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느냐, 학생 주도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크게 구분된다. 지금까지는 주로 학생 주도로 이루어지는 과제 연습 방식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이 외에도 교사 주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과제 연습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제식 수업은 극도의 교사 주도적 과제 연습 방식이다.

 체육 교육학자 모스톤은 수업에서 내려야 하는 여러 사항들에 대한 결정권을 교사가 갖느냐 학생이 갖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 진행 방식을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11가지의 서로 다른 수업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는 그의 설명 체계는 수업 스펙트럼이라고 불린다. 앞에서 소개된 과제 연습 방식들은 의사 결정의 주도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이 스펙트럼 중의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교수 학습 유형 목적
명령식 스타일 모든 결정을 교사가 내리며, 짧은 시간 내에 주어진 과제를 정확하게 따라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연습식 스타일 학생들이 개별적이고 독자적으로 과제를 연습할 시간을 가지며, 교사는 학생에게 개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기회를 가진다.
교류식 스타일 학생은 짝과 함께 과제를 연습할 수 있으며, 교사가 마련해준 기준에 비추면서 짝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자검식 스타일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배우면서, 이 과정을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포함식 스타일 자신이 할 수 있는 수준의 과제를 스스로 선정하고, 자신의 학습 과정을 점검할 수 있는 하나의 도전과제를 만든다.
유도 발견식 스타일 학생들이 교사가 묻는 일련의 질문들에 대답하면서 한 가지 개념적 아이디어를 발견한다.
수렴 발견식 스타일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점을 스스로 찾아내고, 쟁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한 후, 추론과 비판적 사고 등 논리적 절차를 거쳐 결론을 이끌어 낸다.
확산 생산식 스타일 한 가지 문제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해결책을 만들어 낸다.
자기 설계식 스타일 교사와 상의하에 각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일련의 과제들을 계획하고, 개발하고, 실행한다.
학생 주도식 스타일 학생이 전체 학습 과정을 시작해 나가길 제안하고, 그 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평가한다. 이때, 합의로 결정한 기준과 원칙에 비추어 교사와 함께 해 나간다.
자기 학습식 스타일 교사의 관여 없이 학생이 모든 결정을 스스로 내린다. 학교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취미나 여가 활동을 계획할 때 주로 활용된다. 이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바로 학생이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