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 과제를 분석해서 적절한 학습경험으로 구성하는 능력이다.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과제는 전후 과제들 간에 서로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즉, 교사들은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킨다. 교사들은 교수목표, 운동의 특성과 그것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 학습자의 욕구를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전개해 나간다. 체육교사의 효과적인 수업전개 여부는 그가 수업을 시작해서 종료할 때까지 어떤 운동과제를 결정하는지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다. 학습과제의 선정단계에서 어떤 활동을 학습할 것인지가 결정되면, 곧이어 이 활동을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구체적 과제들을 개발하는 절차가 이어진다. 학생들의 능력과 흥미에 맞게 학습 과제를 단계화할 때는 4가지 유형이 있다..
시작형 과제는 어떠한 활동을 가장 기초적인 단계에서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한 과제이다. 에를 들어, 티볼의 치기 기능을 지도할 때 배트를 잡는 방법과 배트로 공을 치는 기본적인 방법을 익히는 활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확장형 과제는 난이도와 복잡성이 덧붙여진 형태의 과제이다. 따라서 교사는 복잡성과 난이도를 더할 수 있는 요인들을 조절하며 과제를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장비의 변형, 공간 크기의 재구성, 연습의 목표나 의도 변경, 참가인원 증감, 연습환경 변화, 규칙 변경, 또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과제를 발전시켜 나간다. 이와 같이 학습 경험을 유도하는 과제가 바로 확장형 과제이다. 예를 들어, 티볼 치기 기능을 지도할 때 배트를 짧게 잡고 공을 치는 활동, 길게 잡고 공을 치는 활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세련형 과제는 폼이나 느낌과 같이 운동 기능의 질적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진 과제이다. 예를 들어, 티볼의 치기 기능을 지도할 때 팔 힘뿐만 아니라 허리 회전을 이용하여 공을 정확하게 치는 활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세련형 과제는 대부분의 경우 기능이나 동작의 형태에 관한 단서를 제공하지만 때로는 반응이나 움직임에 관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농구 드리블의 예에서 드리블 학습의 초기단계에서는 손가락으로 공을 튀긴다, 고개를 들고 드리블을 한다 등과 같은 동작의 질적 측면에 관한 단서를 주로 제공하지만 기능이 향상되면 방어 선수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므로 어떻게 반응하거나 움직여야 하는지에 관한 단서를 제공한다.
적용형 과제는 학생들이 확장형 과제나 세련형 과제를 통하여 학습한 기능을 실제로 활용하거나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 과제이다. 적용형 과제는 보통 경쟁 경험으로 구성된다. 적용형 과제는 기능을 어떻게 수행하느냐 하는 것보다는 학습한 기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에 더 큰 관심이 있다. 적용형 과제는 학습한 기능을 경기에서 활용하거나 설정한 기준 또는 목표의 달성 여부를 평가하는 과제이다. 예를 들어, 티볼 치기 기능을 지도할 때 실제 게임 상황에서 여러 가지 배트 잡는 방법과 허리 회전을 활용하여 수비가 없는 곳으로 공을 쳐서 보내는 활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교육 > 체육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과제 행동 최소화 방법 (0) | 2023.04.05 |
---|---|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피드백 제공 방법 (0) | 2023.04.05 |
무스카 모스톤의 수업 스펙트럼 (0) | 2023.04.04 |
과제식 학습 (0) | 2023.04.04 |
개인적 사회적 책임감 지도 모형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