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을 가르칠 때 학습자가 어떻게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피드백을 올바르게 제공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피드백은 기능 수행에 고나한 여러 종류의 정보이고, 내재적 피드백과 외재적 피드백이 있다. 피드백은 긍정적이고 일관되게 자주 구체적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수행 또는 노력과 결합해야 한다. 피드백은 결과 지식과 수행 지식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결과 지식은 농구 경기에서 슛을 하거나 야구공을 칠 때처럼 실패 또는 성공적인 수행이 일어나는 것을 볼 때 생겨난다. 결과 지식은 목표 수행 결과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학습자에게 과제 성공 여부를 말해 주는 것이다.
수행 지식은 기능과 성과에 초점을 맞추는 결과 지식과는 달리, 어떻게 기능이 수행되었는가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턱을 가슴으로 끌어당겨, 또는 표적을 향해 왼발을 먼저 내딛어 등과 같다. 수행 지식은 기능 향상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촉진한다. 효과적인 수행 지식 제공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에 관한 피드백을 짧고 간결하게 한다. 둘째, 피드백은 내용이 있어야 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무엇이 올바른 동작이고 그릇된 동작 인지에 대해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 셋째, 피드백은 어느 경우도 두, 세 가지 요점 이상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지나치게 많은 피드백은 새로운 기능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을 혼동시킬 수 있다. 넷째, 성과를 강조하기보다는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우연히 슛을 성공시킨 학생은 비록 슛의 기술적인 측면이 부정확하게 수행되었을지라도 성과 때문에 올바르게 기능 수행을 했다고 믿을 수 있다. 다섯째, 학생들이 피드백을 내면화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학생이 피드백에 집중할 시간이 부족하면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 학생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개별적으로 지도한다.
'교육 > 체육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 교수를 위한 시범 보이는 방법 (0) | 2023.04.05 |
---|---|
비과제 행동 최소화 방법 (0) | 2023.04.05 |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학습 과제 단계화 (0) | 2023.04.04 |
무스카 모스톤의 수업 스펙트럼 (0) | 2023.04.04 |
과제식 학습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