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평가
몇몇 기준에 비추어 글의 전체적인 인상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글 전체는 각 부분의 단순한 합 이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학생들이 쓴 글을 신속하게 읽으며 평가해야 하므로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평가 척도는 매우 우수, 우수, 보통, 부족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평가 척도에 대한 대표적인 표본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글을 매우 우수, 우수 등으로 평가한다.
한 편의 완성된 글이 가지는 가치를 반영하여 쓰기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학생이 쓴 글을 분절적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평가자의 주관적 느낌에 의존하므로 신뢰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학생의 글쓰기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한다.
분석적 평가
학생이 쓴 글을 여러 가지의 하위 요소로 나눈 후 각각의 요소별로 점수 척도를 적용해 글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내용, 조직, 표현 등의 평가 영역을 두며, 평가 기준은 글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영역별로 평가한 후 이를 종합해서 점수를 부여한다.
학생의 글쓰기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평가 결과를 특정한 교수학습 활동에 재투입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각각의 요소별로 평가 척도를 마련함으로써 평가자의 주관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에 있는 것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평가를 총체적으로 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한 편의 글이 가지는 가치가 각각의 요소에서 받은 점수의 물리적인 총합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평가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각각의 평가 요소를 평가할 때마다 글을 다시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주요 특질 평가
과제 지향적 평가로서 평가 요소가 과제에 따라 달라지며, 그 과제에서 요구하고 있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분석적 평가 항목 중에서 특별히 한두 개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묘사하는 글쓰기가 과제라면, 학생의 글이 맞춤법이 많이 틀리거나 구조화가 덜 되었더라도 묘사가 뛰어나면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다. 이때 평가 척도는 매우 우수, 우수, 보통, 부족 등으로 설정하거나,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유의할 점은 과제 수행 능력을 주요 특질 요소의 성취기준에 두기 때문에 과제 제시 단계에서 텍스트의 주요 특질에 대한 진술이 명확해야 한다는 것이다.
쓰기 과제로 제시된 장르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학습하게 하고 이를 평가하는 것이므로, 학생이 장르 지식을 학습하도록 한다.
교사가 기대한 교수 학습 결과를 정확하게 기술하므로, 학생의 쓰기 과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오필 분석법
학습자가 글을 쓰는 과정을 면밀하게 관찰하면서 잘못 쓰거나 쓴 것을 고치는 행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어떤 사고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추론하는 방법이다. 읽기 평가 방법인 오독 분석법과 유사한 방법이다. 오필의 유형으로는 멈춤, 엉뚱한 낱말이나 문장 쓰기, 음절의 앞뒤를 바꾸어 쓰기 등이 있다. 평가자는 글쓰기 과정을 보고 순간적으로 판단해야 하므로,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을 메모할 필요가 있다.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평가에 대한 부담을 주지 않는다.
교사가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학습자가 오필을 했을 때 왜 그런 상황이 발생헀는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프로토콜 분석
학습자가 글을 쓰는 과정에서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들을 모두 말하거나 쓰게 한 다음, 그것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이 평가 방법을 활용할 때는 평가 받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칫 인위적인 글쓰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허용적인 분위기 조성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교사를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글을 쓰는 동안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다. 초인지 요소가 나타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자를 훈련하고 프로토콜 자료를 평가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평가 시에 학습자의 글쓰기 행위 또는 사고 행위가 방해받을 수 있다.
포트폴리오법
학습자가 일정 기간을 두고 쓴 여러 편의 글을 모은 작품집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 방법이다. 이때 학생의 언어 발달에 관한 의미 있는 자료를 선별하여 과정, 향상 정도, 결과 등을 체계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개별 학생들의 필자로서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작품을 선택하고 포트폴리오를 조직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 자기 평가적인 반성이 가능하다. 타당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여러 편의 글을 대상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자기 평가/동료 평가
자기 평가는 학습자가 자신의 수행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교사는 학습자가 자기 평가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질문을 개발하여 제시해야 한다. 자기 평가의 과정에는 자기 반성이 수반되며, 이는 상위인지와 관련이 있다.
동료 평가는 학습자의 수행에 대하여 동료 학습자가 평가하는 방법이다. 쓰기가 필자와 독자 사이에서 주고 받는 끊임없는 대화의 과정임을 생각해 볼 때, 동료 평가는 이러한 비가시적인 대화의 과정을 가시적인 대화의 형태로 구형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 > 국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손성의 원리 (0) | 2023.04.05 |
---|---|
대화의 원리 협력의 원리 (0) | 2023.04.05 |
장르 중심 쓰기 지도 (0) | 2023.04.05 |
쓰기 워크숍의 개념과 주요 활동 (0) | 2023.04.05 |
사회 구성주의 작문 이론과 맥락 중심 쓰기 지도 (0) | 2023.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