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완전학습이론은 계속적인 반복(연습)을 통해 완전학습이 가능하다는 행동주의 심리학을 토대로 발생하였다.
캐롤의 완전학습이론
학습을 백분율로 표시한다면 학습에 필요한 시간량과 실제로 학습에 투입한 시간량이 같을 때 학습의 정도가 100%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캐롤은 완전학습변수를 시간으로 보아 시간만 충분하다면 누구나 완전학습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개인적 변인(학습자 변인)
- 적성 : 적성은 주어진 학습과제를 학습하는데 요구되는 학습자의 총 필요시간을 의미한다.
- 교수(수업)이해력 : 수업이나 수업자료를 이해하는데 요구되는 일반적인 능력을 말한다.
- 지구력 :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사용하려고 하는 총 시간량이다.
수업 변인(교사 변인)
- 교수의 질 : 학습과제 제시방법의 적절성을 의미한다.
- 학습기회 : 주어진 학습과제를 위해서 허용되는 총 시간량을 의미한다.
블룸의 완전학습
블룸은 완전학습을 학습의 약 95%의 학생들이 주어진 학습과제의 약 90% 이상을 완전히 학습하는 것이라 하였다.(부적분포) 불완전학습은 1/3의 학생이 충분한 학습을 하고, 1/3은 불충분한 학습, 1/3은 실패할 것으로 기대된다.(정상분포) 블룸은 완전학습 변수를 학습전략(수업방법)으로 보았다.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이 문제해결학습 (0) | 2021.06.19 |
---|---|
자기주도적 학습 (0) | 2021.06.18 |
구조중심 협동학습 (0) | 2021.06.16 |
협동을 위한 협동 학습 모형(Co-op Co-op) (0) | 2021.06.15 |
모둠 탐구 모형(GI)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