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사가 스스로나 동료 교사와 같은 타인의 도움으로 교사의 수업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수업분석의 목적으로는 교사의 수업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지도를 위한 자료를 수집,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자료의 개선, 교원 인사행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교육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있다.
수업분석의 절차
- 준비 및 설계 단계 : 누가, 어떤 목적으로 실시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 판단근거 수집 단계 : 수업분석의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 판단 및 정리 단계 : 실제로 수업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판단하고 정리하는 단계이다.
수업담당자, 수업참관자
수업담당자는 자신의 수업을 개선한다는 신념이 필요하다. 자신의 수업을 개방할 수 있는 자세와 개선할 점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자세가 있어야한다.
수업참관자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한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수업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참관자 자신의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을 찾는 자세가 필요하다.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레이저의 수업모형 (0) | 2021.06.03 |
---|---|
플랜더스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 (0) | 2021.06.02 |
딕과 캐리 모형 (0) | 2021.05.31 |
ADDIE 모형 (일반적 교수체제설계) (0) | 2021.05.30 |
교수설계 철학(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0) | 2021.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