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모형

by ⓨⓐⓝⓖ 2021. 6. 4.
반응형

 1973년에 교과서가 유일한 교육자료였다. 그래서 수업과정과 절차가 제시된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해서 현장의 교사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수업체제를 개발하였다. 교사의 수업방법을 개선하고 교사들에게 수업 절차를 알려주며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필요항 기초 시나리오를 제공하였다. 이후 현재까지 한국의 초, 중등 교육의 교사용 지도서의 독보적인 기본 수업 설계안으로 채택되어 학교수업 개선에 기여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 모형

  1. 계획단계 : 교사가 학습과제를 위해 수업을 계획하는 단계이다. 학습과제 분석으로 수업목표를 확인하고 내용구조를 확인한다. 수업계획으로 학생 및 교사활동, 학습계열, 평가를 계획하고 실천계획을 계획한다. 학습과제란 8~16시간의 수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하나의 학습단원을 뜻한다.
  2. 진단단계 : 학생들이 학습과제를 배우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지식 등의 준비 상황(선수 학습)을 교사가 점검하고 필요한 교정 조치를 하는 단계이다. 무결원 학생은 심화 및 촉진 학습과 예습을 조치하고 부분적 및 전반적 결원학생인 학습부진아는 교정학습을 실시한다.
  3. 지도단계 : 교사의 교수와 학생들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도입, 전개, 정착의 단계로 도입에서는 학습목표 확인, 학습동기 유발, 선수학습 관련짓기를 하고 전개에서는 교사주도 수업(탐구학습, 문제해결학습, 실험 등)과 학생주도 학습(프로그램학습, 견학, 발표, 모방활동)을 진행한다. 정착에서는 정리, 연습, 종합, 적용이 이루어진다.
  4. 발전단계 : 지도 단계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학습상태에 대한 형성평가를 실시해서 그 평가 결과에 따라 심화학습 또는 보충학습을 별도 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한다.
  5. 평가단계 : 수업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이다. 학기마다 2~3회 실시하고 결과 검토를 통해 학급 프로파일을 작성한다. 성적 판단과 교수 과정의 질적 개선에 결과를 활용한다.

 

한국교육개발원 모형의 문제점

 학생들의 학습이 교사의 계획에 의해 결정되는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 평가 결과에 따라 심화학습과 보충학습으로 구분하여 학생 간의 우열의식을 가지게하고, 성적에 따라 학생의 서열화와 부정적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하였다. 평가에만 집중하고, 정의적 태도와 실습 기능에 무관심했다. (전인교육 결핍) 학교 시험을 너무 자주 치며 점수에 따른 체벌이 극심하였다. (시험 이후 체벌불안)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벨의 수용식 수업이론  (0) 2021.06.06
브루너의 발견식 수업이론  (0) 2021.06.05
글레이저의 수업모형  (0) 2021.06.03
플랜더스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  (0) 2021.06.02
수업분석  (0) 2021.06.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