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48

플랜더스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은 수업형태를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수업방법을 개선하고, 비지시적 수업과 학생의 바람직한 성장을 추구한다.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범주 번호 1. 교사의 발언 - 비지시적 발언 - 느낌을 받아들이는 것 2. 교사의 발언 - 비지시적 발언 - 칭찬, 격려 3. 교사의 발언 - 비지시적 발언 - 학생의 생각을 수용하거나 이용 4. 교사의 발언 - 비지시적 발언 - 질문 5. 교사의 발언 - 지시적 발언 - 강의 6. 교사의 발언 - 지시적 발언 - 지시나 명령 7. 교사의 발언 - 지시적 발언 - 비난 혹은 권위를 부리는 것 8. 학생의 발언 - 학생의 반응적인 말 9. 학생의 발언 - 학생의 자진적인 말 10. 기타 - 침묵, 작업, 혼동 상호.. 2021. 6. 2.
수업분석 교사가 스스로나 동료 교사와 같은 타인의 도움으로 교사의 수업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수업분석의 목적으로는 교사의 수업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지도를 위한 자료를 수집,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자료의 개선, 교원 인사행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교육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있다. 수업분석의 절차 준비 및 설계 단계 : 누가, 어떤 목적으로 실시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판단근거 수집 단계 : 수업분석의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판단 및 정리 단계 : 실제로 수업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판단하고 정리하는 단계이다. 수업담당자, 수업참관자 수업담당자는 자신의 수업을 개선한다는 신념이 필요하다. 자신의 수업을 개방할 수 있는 자세와 개선할 점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자세가 있어야한다. 수업참관자는 문제점.. 2021. 6. 1.
딕과 캐리 모형 딕과 캐리의 교수설계 모형은 체제 접근에 입각해 교수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제시한 모형이다. 딕과 캐리 모형의 절차 교수목적 확인 : 요구분석에 따라 교수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고, 교수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서 학습자가 보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진술한다. (가네 목표진술) 교수분석 : 학습과제를 분석하고 하위 학습과제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학습자 및 상황 분석 : 학습자의 특성이나 학습 상황이나 환경을 분석한다. 수행목표 기술 : 학습자들이 수업에서 성취해야 할 수행목표들을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교수목표를 달성 가능한 단계로세분한 수업목표이다. (메이거 수업목표 진술) 평가도구 개발 : 수행목표의 도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준거지향 검사문항을 개발한다. 교수 전략 개발 : 최종목표 성.. 2021. 5. 31.
ADDIE 모형 (일반적 교수체제설계) ADDIE 모형은 교수설계 과정의 가장 널리 활용되는 일반적 형태의 모형이다. 현존하는 교수설계 모형들은 ADDIE 모형에서 파생된 것이나 변형시킨 모형이다. 각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앞글자를 따와서 ADDIE라고 한다. 단계 역할 활동내용 산출결과 1. 분석 (A) 학습내용의 정리 요구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과제분석 요구, 교육목적, 제한점 2. 설계 (D) 교수학습방법으 구체화 성취행동목표 진술, 평가도구의 개발, 교수전략 및 매체의 선정 성취행동목표, 교수전략 등을 포함한 설계명세서 3. 개발 (D) 교수자료의 제작 교수자료의 제작, 형성평가의 실시 및 교수자료의 수정 완성된 교수자료 4. 실행 (I) 교수자료의 실제적용 교수자료의 사용 및 관리 실행된 교수자료 5. 평가 (E.. 2021. 5.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