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48

자기주도적 학습 노올즈는 페다고지를 교사주도 교육, 안드라고지를 자기주도 교육으로 사용한다. 노올즈는 자기주도적 학습(Self Directed Learning)을 개인이 솔설수범하여 자신의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정하고,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탐색하고,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시행하여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규정한다. 자기조절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은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자기조절 학습은 혼자서 적절한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학습이다. 학습의 기술과 의지를 바탕으로 학습과제를 분석하고,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고, 기술을 적용하는 학습이다. 학습과제 분석, 목표 설정과 계획의 고안, 전략 사용, 학습 조절의 4단계의 학습이다. 페다고지&안드라고지 비교 기본가정 페다고지 안드라고지 알고자 하는 .. 2021. 6. 18.
완전학습이론 완전학습이론은 계속적인 반복(연습)을 통해 완전학습이 가능하다는 행동주의 심리학을 토대로 발생하였다. 캐롤의 완전학습이론 학습을 백분율로 표시한다면 학습에 필요한 시간량과 실제로 학습에 투입한 시간량이 같을 때 학습의 정도가 100%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캐롤은 완전학습변수를 시간으로 보아 시간만 충분하다면 누구나 완전학습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개인적 변인(학습자 변인) 적성 : 적성은 주어진 학습과제를 학습하는데 요구되는 학습자의 총 필요시간을 의미한다. 교수(수업)이해력 : 수업이나 수업자료를 이해하는데 요구되는 일반적인 능력을 말한다. 지구력 :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사용하려고 하는 총 시간량이다. 수업 변인(교사 변인) 교수의 질 : 학습과제 제시방법의 적절성을 의미한다. 학습기회 : .. 2021. 6. 17.
구조중심 협동학습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케이건이 고안한 모형으로 짧은 시간에 구조를 만즐어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조는 학생들끼리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조직화된 방법이다. 구조중심 협동학습 원리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 : 많은 학습자가 동시에 상호작용하도록 구성한다. 실제 수업을 위한 준비 시간을 줄여 학습자 활동시간이 확보된다. 긍정적인 상호의존 : 개인이나 모둠의 성과가 다른 학습자나 팀의 성취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경우 긍정적으로 상호의존한다. 모둠별, 개인별 역할을 분담하고 제한된 자료를 모둠이나 학습의 공동과제를 해결할 경우, 모든 구성원이 과제를 완성하기 전에 새로운 진도를 나가지 않는 규칙을 정하여 활동하는 경우 효과적이다. 개인적인 책임 : 학습자 개인별 평가를 받고 개인 점수의 합계나 평균.. 2021. 6. 16.
협동을 위한 협동 학습 모형(Co-op Co-op) 협동을 위한 협동 학습 모형은 케이건이 고안한 모형으로 여러 모둠으로 구성된 학습 전체가 학습 과제를 협동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모둠 별로 협동학습을 하는 독특한 형태이다. GI모형의 무임승차자를 해결하려고 만든 모형이다. 수업 모형의 단계 학습 주제 선택 : 교사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주제를 선택하고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한다. 학생 중심 학급 토론 : 학습 주제에 대해 알고 싶은 것 등을 브레인스토밍 작업을 통하여 정리하고 토론 작업을 통하여 학습 주제를 자기 것으로 내면화한다. 모둠 구성을 위한 소주제 선택 : 학생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소주제들을 정리하고 이를 선택한다. 소주제 별 모둠 구성 및 모둠 세우기 활동 : 학생들이 관심 있는 소주제 별.. 2021.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