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48 자원기반학습(RBL) 학습자 스스로 다양한 학습 자원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학습형태를 의미한다. 신문, 방송, 문헌, 인터넷 등 다양한 학습 자원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으로 다양한 자원과 학습법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모형 비교 절차 / 유형 Big 6 Skills Pathways to Knowledge Research Process Model (초등중심) 정보리터리시 통합수업모형 주제에 필요한 정보 확인 문제/과제 정의 정보감상(보고 듣고 읽고 즐기기) 주제선정 주제에 필요한 정보 확인 사전탐색 정보탐색 및 수집 정보탐색 전략 확인 정보탐색 탐색전략개발 정보수집 정보자원 탐색 정보의 위치 파악 및 확보 정보분석 정보 사용 정보해석 최종결과물 작성.. 2021. 6. 26. 문제중심학습(PBL) 문제중심학습은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여 의미있는 해결방법을 찾아내게 한다. 교과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전략을 동시에 가르치는 교육과정이며 교수전략이다. PBL효과 메타인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려고가 문제해결력, 협동학습능력, 지식의 획득과 보유 및 사용, 동기유발과 긍정적 태도의 함양이다. 절차 학습환경 조성 첫 번째 만남 : 비구조화된 문제제시 → 임시적인 답과 해결책 모색(가설연역법) 자율학습 : 협동학습, 자기주도적 학습(개별, 모둠활동) → 자료수집 두 번째 만남 : 해결책 제시 → 정리 탐구 평가 평가 주로 수행평가 방식으로 평가한다. 수행평가 방법 중에서 포트폴리오, 주관식 지필검사, 튜터에 의한 관찰, 성찰일기 등이 있다. 2021. 6. 25. 인지적 융통성 이론 & 상황인지 인지적 융통성 이론 인지적 융통성이란 여러 지식의 범주를 넘나들고 연결하면서 상황적 요구에 탄력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을 말한다. 여러 가지 각도, 시각에서 발아보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문제해결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컴퓨터시스템에 저장을 하고,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진 다음,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인지적 융통성을 발휘하는 방법이다. 인지적 융통성을 위한 환경조성 다양한 사례를 많이 보여주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이다. 문제의 맥락이 복합적이고 비구조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컴퓨터를 통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응용한다. 학습하고자 하는 개념이 언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실제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한다. 상황학습(상황인지) 인간의 사고가 상황에 적응된다고 보고, 맥락이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2021. 6. 24. 정착학습(앵커드 학습) 학습할 내용을 잘 담고 있는 비디오 디스크와 멀티미디어 기술을 담은 앵커를 활용한다. 학습자 중심환경, 지식 중심환경, 평가 중심 환경, 공동체 중심환경이다. 절차 : 탐구 단원의 설정 → 앵커를 확인하기 → 앵커를 제시하기 → 앵커를 토의하기 → 탐구 문제 설정하기 → 탐구 집단의 조직 → 탐구의 수행 → 탐구 결과 발표하기 앵커는 핵심적인 내용 자료로 비디오가 담고 있다. 2021. 6. 23.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