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교육사회학31

고등학교 평준화 고교평준화 배경 1969년 무시험제에 의한 중학교 평준화에 이어 1974년 고교평준화가 도입되었다. 중학교 입시지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회문제화된 고교 입시경쟁을 해소하기 위해서 채택되었다. 1974년 부산과 서울을 시작으로 대구, 인천, 광주 등 전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고교평준화 장점 고등학교 교육기회가 확대되었다. 과열 고입경쟁을 해소하고 중학교 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졌다. 중학교, 고등학교 간의 교육격차가 완화되었다. 지방학생들의 대도시 집중이 완화되었다. 고교평준화 단점 학급 내에 능력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함께 공부함으로써 수월성 교육이 어렵다. 우수학생의 교육이 어려워 하향평준화 현상과 학력저하가 나타난다.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를 선택하는 권리가 제한된다. 사립고등학교 자율성이 약화되어.. 2021. 6. 11.
발전교육론 발전교육론 개념 국가발전을 위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부문의 발전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하여 교육의 양과 질을 계획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발전을 위한 교육 교육은 정치발전에 이바지한다. 정치인을 양성하는 정치적 충원, 국민들에게 정치적 문화를 전달하는 정치적 사회화, 국민들의 일치된 정치적 생각을 이끌어내는 정치적 통합 등이 있다. 교육은 경제발전에 이바지한다. 국가가 필요로 하는 경제 인력을 양성하고, 경제활동에 적합한 가치관과 태도를 배양하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한다. 사회발전에 공헌한다. 교육을 통해서 사회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고, 사회의 생활양식이 바뀌고, 사회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길러준다. 문화발전에 공헌한다. 교육을 통해서 문화의 전파와 변동이 일어나고, .. 2021. 6. 11.
교육과 선발 블로우와 던컨(기능주의) 기능주의 교육학자인 블로우와 던컨은 가정 배경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는 큰 관계가 없고, 학교 교육이 사회적 지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주장하였다. 교육 기회의 확대를 통해서 학생들이 학교에 진학하면 학교는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배분한다. 학교는 학생들을 능력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배분하는 합리적인 장치이다. 보울즈와 킨티스(갈등주의) 갈등주의 교육 사회학자 보울즈와 킨티스는 교육은 사회적 불평등이 반영되어 재생산되는 조직체이므로 교육 기회의 균등으로 사회적 불평등은 개선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적 지위는 학교교육보다는 가정 배경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치스워크와 민서(중립) 중립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학자들은 교육은 사회 평등.. 2021. 6. 10.
양적 접근 & 질적 접근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비교 양적 접근법 질적 접근법 ① 실증적 방법 ② 실증주의 철학 ③ 통계, 확률, 수학 사용 ④ 구성요소 분석 ⑤ 외부자 관점 ⑥ 신뢰도 ⑦ 연구자와 연구대상 분리 ⑧ 연구자의 단정적 태도 (가설을 연구 전에 설정) ⑨ 일반성 ⑩ 인과관계 강조 ⑪ 객관성 ⑫ 연역법 ⑬ 무선표집 ⑭ 실험 ⑮ 가치중립, 탈이데올로기 ① 해석학적 방법 ② 해석학 ③ 문장기술 ④ 총체적 분석(맥락) ⑤ 내부자 관점 ⑥ 타당도 ⑦ 연구자와 대상 상호작용 ⑧ 연구자의 비단정적 태도 ⑨ 특수성 ⑩ 인과관계 무시 ⑪ 주관성 ⑫ 귀납법 ⑬ 의도적 표집 ⑭ 관찰, 면접 ⑮ 가치지향, 이데올로기 2021.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