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교육철학28

지식의 종류 방법적 지식(절차적 지식, 하는 지식) 한 과제의 절차와 방법에 대한 지식이다. '~할 줄 안다.(Know How)'와 같이 표현되는 지식으로 과정적 지식이라고도 한다. 상황에 따른 정도의 차이를 지니는 지식이다. 언어로 표현되기도 어렵고 표현되어도 방법적 지식이라고 볼 수 없다. 대부분 기술, 기능 방법에 관한 지식으로 실습을 통해 전수될 때가 많다. 명제적 지식(선언적 지식, 아는 지식) 명제가 참임을 아는 지식으로 '~라는 것을 안다(Know That)'와 같이 표현되는 지식이다. 참,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명제의 방법으로 표현되는 것, 즉 언어적 문장으로 표현되는 지식이다. 사실적 지식, 논리적 지식, 규범적 지식으로 구분된다. 사실적 지식 : 객관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한다.. 2021. 9. 16.
교육이념 & 교육목적 & 교육목표 교육이념 교육목적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회의 모든 면과 관련되는 가장 상위차원의 목적의식으로 철학적인 성격을 지닌다. 교육목적에 철학적, 이론적, 가치적 기반을 제공한다. 교육목적 교육이념보다 하위차원이고 교육목표보다는 상위차원의 것으로 교육이념과 교육목표의 조화로운 조정에서 성립된다. 교육을 통해서 형성하고자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이나 사회상태이다. 교육목표 교육목표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방법을 지칭한다. 2021. 9. 15.
교육목적론 교육의 내재적 목적 교육의 내재적 목적은 교육이 다른 것의 수단이 아닌 교육의 활동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목적을 말한다. 합리성의 발달, 지식의 형식 추구, 자율성 신장, 전인적 인격형성, 자아실현 등을 들 수 있다. 교육의 개인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교육의 외재적 목적(수단적 가치, 위인지학) 교육의 외재적 목적은 교육이 다른 활동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발전의 수단, 국가발전의 필요, 경제성장, 사회통합, 직업준비, 생계유지, 출세 등이 있다. 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이 높다. 2021. 9. 14.
학교선택권 & 대안교육 학교선택권 1970년 이후 공교육의 부실로 높은 문맹률과 중퇴율로 사회 재교육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교육에 자유경쟁을 도입하여 공교육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학부모와 학생에게 학교선택권을 주고, 학교간의 경쟁을 촉진시켜 교육수월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바우처제도 공립과 사립, 공립과 공립 등 모든 학교를 완전 경쟁으로 몰아넣는 제도이다. 정부가 승인한 학교의 수업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쿠폰 행태(바우처)로 학부모에게 준다. 학교는 바우처를 모아서 정부에게 제출하고 학교 운영비를 받아서 학교를 운영한다. 학부모가 선택하지 않은 학교는 존재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을 강조한다. 차터스쿨 주정부나 교육청이 일반 공립학교의 운영권을 민간 교육 회사나 교원들에게 일정기간 위탁한다. 일반 공립학교와 .. 2021.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