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교육철학28

공교육제도 공교육제도 공교육제도 : 국가 및 공공단체가 학교교육을 관리한다. 의무교육제도 : 국민들에게 교육의무를 강제한다. 무상교육제도 : 국민들이 교육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무상으로 제공된다. 형성배경 유럽의 공교육제도는 산업혁명과 시민혁명, 근대 국가의 수립, 종교개혁 등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국민들의 평등사회가 대두되면서 근대 민주 국가로 새롭게 형성되었다. 물질적 풍요와 더불어 2차 세계대전 이후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제도가 정착되었다. 기본전제 의무성 :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교육의무를 강제한다. (의무교육제도) 무상성 : 교육에 필요한 경비를 모두 무상으로 함으로써 국민이 경제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교육기관에 접근할 수 있음을 뜻한다. (무상교육제도) 중립성 : 정.. 2021. 9. 12.
평생학습사회 평생학습사회 정의 :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열린교육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모든 국민의 자아실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회를 말한다. 이념 : 모든 국민이 자아실현을 이루는 것이다. 학습사회 모형 자유교양형 학습사회론 (허친스) : 성인 남녀에게 교육의 기회가 열려있어 학습, 자아실현, 인간화라는 가치 전환에 성공한 사회를 말한다. 교육의 목적은 인간이 되게 하는 것이다. 교양교육이다. 포르보고서 「삶을 위한 학습」. 종합형 학습사회론 : 카네기 고등교육위원회의 학습사회론이다. 교양교육 + 직업교육 이다. 학습네트워크형 학습사회론 (일리치) : 교육시설이나 강좌를 찾을 수 있는 네트워크·학습망을 설치 → 교육자 연결, 동료선택, 기술교환, 자료교환. 일리치는 〈탈학교 사회〉에서 .. 2021. 9. 11.
평생교육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1960년대부터 유네스코,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직적 교육과 수평적 교육을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통합시킨 교육이다. 평생교육은 새로운 교육의 출현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을 하나의 교육으로 보는 관점이나 사고의 변화이다. 평생교육의 필요성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인 양적 증가와 질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학교교육의 한계성과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인간 수명의 연장과 여가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일생을 통한 개인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인간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육 소외집단에 대한 교육적 배려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평생교육제도의 모형 통제모형 : 전체주의 국가에서는 교육이 국가의 온전한 지배하에 .. 2021. 9. 10.
가정교육 & 사회교육 가정교육 가족상호 간에 직접적인 접촉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는 비형식교육이다.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으로 분류한다. 물리적 환경은 가정의 물리적, 사회적, 물질적 상태를 의미한다. 거주지, 가옥 크기, 문화시설, 가족구성, 부모의 직업 등을 지칭한다. 심리적 환경은 가족구성원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성취압력, 학습조력, 지적활동, 학습습관 등을 의미한다. 사회교육 협의로는 유아교육을 제외한 청소년과 성인의 학교 외 교육을 의미한다. 광의로는 학교 이외의 모든 사회에서의 교육을 말하며, 유아교육까지 포함한다. 2021.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