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디, 문화재생산이론
정의 문화재생산이론은 교육이 지배계급의 문화자본을 사용함으로써 지배계급에게 유리하게 운영하고 지배계급을 재생산한다고 본다. 문화자본이란 지배계급의 문화를 지칭한다. 학교가 자본주의를 재생산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체질화된 문화자본이 강력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문화자본이 폭력이나 강제 혹은 억압에 의하지 않고 상징적 폭력을 통하여 불평등을 재생산한다. 문화자본의 종류 체질화된 문화자본 : 개인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문화능력으로 가정이나 교육의 영향으로 형성된다. 지식, 교양, 취미, 감성, 세련됨, 품위처럼 육체적 정신적 성향으로 개인 안에 습득된 것이다. (아비투스 문화자본) - 강력한 재생산 객관화된 문화자본 : 법적 소유권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본이다. 그림, 책, 사진, 기계, 도구 등 문..
2021.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