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97

왼쪽 위의 배가 아프다면 그 원인은? 좌상복부 통증(복통) 좌상복부에도 나름의 장기가 있다. 따라서 이 부위에 생기는 증상을 이해하려면 어떤 장기가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 부위에는 비장, 위장, 췌장, 장의 만곡 그리고 횡격막의 왼쪽 부분이 있다. 여기에는 골머리를 앓게 하는 간장과 담낭이 없으므로 좌상복부 통증은 일반적으로 우상복부의 통증보다 다소 빈도가 떨어진다. 비장 복부 깊숙히 위치한 췌장과 달리, 비장은 인체 표면과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다. 의사가 비장을 검진할 때 강하거나 깊이 누르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비장의 주된 역할은 혈중에서 120일의 정상 수명을 다한 적혈구를 제거하는 것이다. 비장은 오래된 적혈구를 거두어 해체하고 구성 성분들을 골수로 되돌려 보내 거기서 새로운 적혈구를 만들게 한다. 비장 종대 비장은 여러 질환 때문에 커질 수 .. 2021. 6. 15.
두 종류의 마르크시즘 마르크시즘의 상·하부 구조 상부구조 : 정치, 문화, 교육, 이념, 학문 등 하부고조 : 경제 상부구조는 하부구조의 변화·발달에 따라 따라온다. 경제의 발전에 따라 정치구조가 선택된다. 정통적 마르크시즘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지배한다.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본다. 과학, 기술을 강조한다. 네오 마르크시즘 하부구조와 상부구조가 상호작용을 하며, 상부구조는 상대적 자율성을 지니는 것으로 본다. 인간을 능동적인 존재로 본다. 비판, 철학을 강조한다. 2021. 6. 15.
협동을 위한 협동 학습 모형(Co-op Co-op) 협동을 위한 협동 학습 모형은 케이건이 고안한 모형으로 여러 모둠으로 구성된 학습 전체가 학습 과제를 협동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모둠 별로 협동학습을 하는 독특한 형태이다. GI모형의 무임승차자를 해결하려고 만든 모형이다. 수업 모형의 단계 학습 주제 선택 : 교사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주제를 선택하고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한다. 학생 중심 학급 토론 : 학습 주제에 대해 알고 싶은 것 등을 브레인스토밍 작업을 통하여 정리하고 토론 작업을 통하여 학습 주제를 자기 것으로 내면화한다. 모둠 구성을 위한 소주제 선택 : 학생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소주제들을 정리하고 이를 선택한다. 소주제 별 모둠 구성 및 모둠 세우기 활동 : 학생들이 관심 있는 소주제 별.. 2021. 6. 15.
벡터 벡터 라틴어 'vector'는 운반하는 사람을 뜻한다. 짐을 운반하려면 동서남북 중 어느 방항으로 몇 미터나 옮길 것인지 알아야 한다. 이때 방향과 거리라는 두 가지 정보를 한데 나타내려면 지도상에 화살표를 그리면 된다. 운반할 방향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운반할 거리를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내는 것이다. 바로 이 화살표가 벡터다. 벡터의 활용 크기와 방향이 함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벡터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비행기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려면 속력과 방향을 표시해야 한다. 이 두 가지 정보를 하나의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물체를 밀어 옮길 때, 힘의 크기와 힘이 작용하는 방향을 벡터로 나나낼 수 있다. 기상도에서 화살표의 방향은 풍향을, 화살표의 길이는 풍속을 나타낸다. 이것도 벡터다. 벡터를 이용한.. 2021. 6. 14.
관성·원심력 관성 모든 물체는 운동 상태를 바꾸기 싫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가만히 있는 물체는 그대로 계속 가만히 있으려고 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같은 속력과 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고 한다. 이처럼 물체가 원래의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을 '관성'이라고 한다. 물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물체는 관성에 의해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것을 '관성법칙' 또는 '뉴턴의 운동 제1법칙'이라고 한다. 물체는 운동 상태를 바꾸지 않으려고 저항한다. 운동하고 있는 물체에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때, 물체의 진행 방향이 순식간에 딱 90˚ 바뀌는 일은 없다. 물체는 관성에 따라 운동 상태를 바꾸지 않으려고 저항하므로 진행 방향은 서서히 바뀐다. 물체에 힘을 가하면 운동 상태가 변하는 것을 '뉴턴의 .. 2021. 6. 14.
오른쪽 위 배가 아프다면 어디가 문제일까? 우상복부 통증(복통) 우상복부는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장기들 즉, 간, 담낭, 소화관 일부, 췌장 그리고 횡격막의 우측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이 장기에서 생기는 질병이나 상해는 우상복부 통증을 남긴다. 그 통증의 세기와 종류는 무엇이, 또 어느 특정 조직이 관련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간 간장이 붓는 원인들은 모두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감염증,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 혹은 심장 약화가 간장이 붓는 대략적인 원인들이다. 간의 통증은 꾸준하게 쑤시지만 예리하게 칼로 베는 것 같은 아픔은 아니다. 우상복부 내부 전체에 통증을 느낀다. 이 불편함은 서서히 그리고 꾸준히 발생하며, 경련성이거나 강도가 오르내리는 양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다음은 간과 관련된 가장 흔한 원인 질환들이다. 간염 몇 가지 기생충들은 간에 감염을.. 2021. 6. 14.
가슴 전체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그 흉통의 원인은 무엇일까? 흉곽이 아플 때 - 늑골 골절 흉막염과 마찬가지로 통증은 예리하고 심호흡을 할 때 더 악화된다. 이 둘 사이의 차이는 골절에 의한 흉곽의 통증은 몸통을 굽히고 비틀 때 악화되는 데 반해 흉막염, 심장발작 혹은 폐에 혈괴가 있는 경우에는 아프지 않다. 늑골 골절을 일으키는 잘 드러나지 않는 다른 원인으로는 악성 종양도 있다. 이것은 몸의 다른 부위에서 암세포가 늑골로 전이도니 것이다. 뼈와 가장 큰 친화성이 있는 암은 남자들은 전립선, 여자들은 유방에서 발생한다. 신장, 폐, 위장 그리고 간에서 생긴 암은 남녀 모두 해당된다. 만약 암 치료가 잘 되고 있는데, 갑자기 심호흡 및 움직임으로 악화되는 예리한 통증이 있다면 그 암이 늑골까지 전이되었지 모른다. 단 한 번의 뼈 스캔 검사로도 그 이유는 알 수 있.. 2021. 6. 14.
폐에 고통을 주는 병에는 어떤 병이 있을까? 흔히 흉통이 심장에서 생긴다고 생각하지만 폐에서 일어날 때가 있다. 이것은 두 가지 흔한 질병에서 생길 수 있다. 흉막염, 폐색전증 폐는 '흉막'이라는 두 겹의 포장지로 덮여 있다. 그 포장지에 염증이 생기거나 자극을 받거나 감염이 일어나면 흉막염이라는 병이 도니다. 흉막염에 걸리면 폐를 덮고 있는 두 겹의 포장지는 서로 마찰되어 심호흡하는 매 순간 예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흉막은 바이러스들이 유독 좋아하는 표적이다. 바이러스성 흉막염은 종종 발열과 기침을 동반하고 한다. 폐렴 역시 흉막염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흉막염 환자는 숨을 깊이 쉬면 매우 아파 그저 얕게 헐떡거리는 숨만 쉰다. 바이러스성 흉막염은 보통 며칠간 지속되다가 그 후 저절로 낫는다. 두 겹의 흉막에서 윤활액을 만들어내므로 그 통.. 2021.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