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
장학 장학의 목적 교사의 전문성 신장시킨다. 직무동기를 부여한다. 학교 효과성의 향상시킨다. 장학의 발달 과학적 관리장학 - 인간관계장학 - 임상장학 - 인간자원장학, 지도성장학 수업장학(교내장학, 학교장학) 학교에서 교수학습과정을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교사를 지도하고 조언하는 장학 주로 교장, 교감, 수석교사에 의해 진행된다. 임상장학 임상장학은 교실에서 교사의 교수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사와 장학전문가의 협의 하에 이루어지는 민주적 장학의 형태이다. 장학 단계 : 1단계 관찰 전 협의회, 2단계 수업의 관찰, 3단계 관찰결과의 분석과 장학협의회 계획, 4단계 장학 협의회 마이크로티칭 축소된 수업이다. 실제상황의 수업이 아니라, 시간 4~20분, 학생 3~10명, 학습주제 한 두 주제, 교수기..
2021. 6. 11.
학습공동체 & 실천공동체
학습공동체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란 학습을 주목적으로 하는 개인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집단으로서, 구성원들이 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학습활동을 전개해 가는 것이다. 학습공동체는 학습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공동체는 유사한 흥미나 관심사를 갖고 있으며, 학습하려는 욕망, 아이디어와 의견을 공유하려는 의지를 지닌 학습자 집단이다. 공유된 아이디어와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학습과정에서 서로에게 영향르 주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개인들의 집합이다. 학습공동체 특징 공동 탐색질문, 상호적 학습 (mutual learning) : 공동의 탐구질문을 중심으로 연구팀 조직, 연구활동 수행, 대화, 혐력학습, 상..
2021.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