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97

학습자의 여러 학습 유형 Learning Styles 학습 유형이란 한 개인이 정보를 처리하는 일반적 경향성과 특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유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학습할 때 더 뛰어난 수행 결과를 보인다. 그러나 보다 완전한 학습을 위해서는 자신의 학습 유형뿐 아니라, 자신과 반대되는 학습 유형의 정보처리 방식도 익힐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개별 학생의 학습 유형이 선호하는 활동을 제공하여 학습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개인에게 부족한 학습 유형을 보완해 줄 지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장 독립성(Field independence)과 장 의존성(Field dependence) 개별 사물,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할 때 그 사물, 정보가 속한 배경의 영향을 얼마나 받느냐에 따라 장 독립성과 장 의존성이 구분된다. 어떤 사물을 지각하는 데 있.. 2023. 3. 25.
Halliwell의 초등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의미 파악 능력 아동들은 개별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말의 의미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즉 아동은 상대방의 억양, 몸짓, 표정, 행동 및 주변 상황을 이용하여 잘 모르는 단어나 구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문장을 분석하는 식으로 의미를 이해시킬 것이 아니라 맥락(context)을 충분히 제공하여 아동이 스스로 의미를 추측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표현을 실물, 그림, 제스처, 표정과 같은 시각적 단서와 함께 제시하면 언어만 제시할 때보다 훨씬 풍부한 맥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이 제공될 때 아동은 교사의 언어적 설명이 없어도 새로운 표현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창의적 언어 사용 능력 아동은 이미.. 2023. 3. 25.
총체적 교수법 Whole Language Approach: WLA WLA 소개 총체적 교수법은 언어를 하나의 총체적 실체(a whole entity)로 보고 언어의 4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를 결합하여 총체적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교수법이다. 총체적 언어(whole language)라는 용어는 1980년대 모국어의 읽기, 쓰기에 관심을 두었던 교육자들이 고안한 용어이다. 당대의 읽기와 쓰기 교육에서 널리 사용된 방법은 언어 해독법(decoding)이다. 해독법은 문법, 어휘 그리고 어휘 인식 같이 분리된 언어 요소에 초점을 맞춘 접근법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음철법(phonics)이 있다. 그러나 WLA는 이러한 분리된 접근법에 반대하고, 언어는 전체로(as a whole)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며 하향식(top-down) 방식의 수업을 제안한다. 이론적 .. 2023. 3. 25.
영어 학습자의 성취도를 좌우하는 정의적 요인 동기: Motivation 동기란 인간 행동의 방향과 규모를 결정하는 요소로,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고 유지하게 하는 욕구와 감정을 말한다. 이는 한 사람이 어떤 행동을 결정하고, 얼마나 오래 그것을 유지하고, 얼마나 열심히 그것을 추구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통합적(integrative) / 도구적(instrumental) 동기 통합적 동기 목표어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 때문에 목표어를 배우고자 하는 동기이다. 즉, 학습자가 목표어 화자나 그 문화에 통합되기 위하여 영어를 배울 때 갖는 동기이다. 도구적 동기 어떤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도구로써 영어를 배우는 동기이다. 즉, 취직을 하기 위해서 영어를 공부하거나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 영어를 공부할 때 갖는 동기이다. 내재적(intrinsic) .. 2023. 3. 25.
영어 듣기의 이해 과정 영어 듣기의 이해 과정 들으면서 정보를 처리하는 이해 과정은 상향식 처리(bottom-up processing), 하향식 처리(top-down processing), 상호작용식 처리(interactive processing)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상향식 처리는 청각 기관을 통해 들어온 듣기 자료 자체에 대해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즉, 입력 자체를 음성, 단어, 구문, 문장 순서대로 해독(decoding)하는 과정인 것이다. 따라서 상향식 정보처리에서는 소리, 단어, 연어(collocation), 문장 구조(syntax) 등에 대한 지식 등이 동원된다. 이 언어 정보 처리 방법은 외부 원인, 즉 들어오는 언어 정보 자체에 의해 행해진다. 음성 언어의 상향식 이해는 들어오는 언어의 이해.. 2023. 3. 25.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TBLT 소개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LT)의 한 갈래로, 수업 활동의 기본 단위를 과업(task)으로 제시하는 교수법이다. 즉, TBLT는 과업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실제적이고 비언어적 목적을 위해 의미를 교환하고 언어를 사용하게 하는 접근법인 것이다. CLT가 왜라는 문제를 다룬다면, CBLT는 방법의 문제를 다룬다고 볼 수 있다. Skehan의 정의에 따르면 과업이란 의미가 주되고 해결해야 할 의사소통 문제가 있고, 실세계의 수사한 활동과 관련이 있어야하며, 과업 완료가 우선권을 갖고, 결과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비언어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 배경 언어는 의미를 만드는 수단이다. 언어는 실제 목적을 성취하기.. 2023. 3. 25.
체계적 접근과 체제적 접근 체계적 접근과 체제적 접근의 차이 수업설계와 관련해서 '체계적'과 '체제적'은 구별하여 사용해야 할 용어다. '체계적'이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한 말로 순서, 절차, 간격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체제적'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로 유기적 총체라는 뜻이다. 체계적 접근은 주로 단계적이고 순차적인 절차를 의미하는 데 반해 체제적 접근은 역동적이고 비순차적이며 전체 체제의 유기적 총체나 복잡한 생태학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 체계적이라는 말은 수업설계 활동을 위해 사전에 명세화된 절차를 포함하고 있지만 체제적이라는 말은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상황적, 환경적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다. 초기 수업설계가 체계적 접근을 강조했던 것은 보다 철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수업설계.. 2023. 3. 24.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CLT 소개 영국 언어학자들이 구조주의 언어학에 반문을 제기하며 언어의 기능(function)과 의사소통적 특성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단순에서 복잡한 언어 구조 순서로 제2 언어를 지도할 것이 아니라, 언어 기능을 교육 과정의 조직 단위로 삼을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개념-기능 교수 요목(Notional-Functional Syllabus)이 개발되었다. 이 교수요목의 사용과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배양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현대 영어 교육의 기본 방향이 되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을 만들어 냈다. CLT는 교수법(method)이 아닌 접근(approach)이며, 의사소통적 접근(.. 2023.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