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97

자연적 접근법 Natural Approach: NA NA 소개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은 스페인어 교사인 Terrell이 Krashen의 5가지 가설을 근거로 하여 제안한 언어 교수 방식이다. 따라서 NA는 이해(comprehension), 유의미한 의사소통(meaningful communication), 및 학습자의 정의적 요소에 초점을 두며, 특정 방법만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Krashen의 5가지 가설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수 기법을 차용 및 각색하여 사용한다. 이론적 배경 NA는 언어 이론보다는 언어 학습 이론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었다. Krashen과 Terrell의 설명을 토대로 할 때 이들은 언어를 어휘, 구조, 그리고 메시지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Krashen과 Terrell은 의사소통을 언어의.. 2023. 3. 23.
전신 반응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TPR 전신 반응 교수법 소개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은 Asher에 의해 창안된 교수법으로 교사의 명령(command)에 학습자가 신체 반응으로 본인의 이해를 표현하는 것이다. 발화에 대한 강요 없이 행동으로 반응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긴장은 낮추고 이해에 집중할 수 있다. 이는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 및 행동 특성에 부합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교수 기법(technique)으로 많이 활용된다. 이론적 배경 Asher는 목표어 문법 구조와 어휘의 대부분은 교사의 전랴걱 명령문 사용을 통해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모국어 학습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2 언어 학습자는 듣기를 통해 목표 언어를 내면화한다. 듣기로 언어 표현을 이해하고 난 후 말하기와 다른 표현기능이 나타난다고.. 2023. 3. 23.
청화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ALM 청화식 교수법 소개 청화식 교수법은 음성 언어를 중심으로 패턴 반복 연습(pattern drill)으 통해 올바른 언어 습관(habit formation)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교수법이다. 발음이나 문법의 정확성(accuracy)을 강조하고 내용(meaning)보다는 형식(form)을 강조한다. 이론적 배경 언어 이론에서 구조주의 언어학(Structural linguistics)으로 언어는 음소, 형태소, 단어, 문장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의미의 부호화를 위해 구조적으로 연결된 체계라고 본다. 즉, 어떠한 규칙에 의해 음소가 모여 형태소를 구성하고, 형태소가 모여 단어를 이루며, 단어가 모여 문장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대조분석(Contrastive analysis)으로 모국어와 목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 2023. 3. 23.
직접 교수법 Direct Method: DM DM 소개 언어 학습의 자연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자연적 교수법들(natural methods) 중 하나인 직접 교수법은 모국어 번역을 거치지 않고 목표어로 직접 가르친다는 의미에서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배경 DM은 응용 언어학 이론에 기반을 두지 않았다. DM 주창자들의 단순 가정은 제2 언어 학습도 모국어 학습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듣고 말하는 형태의 상호작용이 많아야 하며 언어를 즉흥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모국어와 목표어 간의 번역과 문법 규칙에 대한 분석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본다. 수업 적용 국가 간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의사소통을 위한 목적으로 제2 언어를 사용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일상의 단어와 문장만 지도된다. 구어 의사소통 능력.. 2023. 3. 23.
문법-번역 교수법 Grammar Translation Method:GTM GTM 소개 고전적 교수법(Classical Method)이라고도 불리는 문법-번역 교수법은 교사 중심(teacher centered), 문법 규칙과 어휘의 암기(memorization of grammatical rules and vocabulary), 번역(translations of texts), 및 지필 연습문제(written exercises)로 특징지어지는 교수법이다. 배경 GTM은 과거 유럽에서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된 고전문헌을 가르치던 방법을 그대로 차용한 것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설명할 언어학, 심리학, 또는 교육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수업적용 의사소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문학작품을 읽을 수준의 문해력을 배양하기 위한 것이고 복잡한 외국어를 공부함으로써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2023. 3. 23.
비고츠키의 사회문화 이론 Vygotsky Sociocultural Theory Vygotsky는 Long과 마찬가지로 상호작용의 역할을 중시하면서 상호작용이 언어 습득에 끼치는 영향을 근접발달영역(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과 비계(Scaffolding)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비고츠키에 의하면 아동의 사고와 의미를 만들어내는 능력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현되는 것이다. 그의 이론은 다음의 용어로 가장 잘 설명된다. ZPD(Zone of Proximal Development) 학습자는 더 많은 지식을 가진 사람과 상호작용을 통해 일종의 교육적 혜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형태의 상호작용이 동일하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학습자는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상호작용을 할 때 혜택을 얻을 수 있다. 근접발달영역이란 학습자가 혼자서.. 2023. 3. 23.
수업설계의 기본원리 현장 수업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교수-학습 과정별 수업설계 원리와 학습원리 수업설계 원리 학습 원리 수업목표의 명확한 제시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명확히 인지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획득하는 절차를 이해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학습이 완료되었을 때, 기대되는 겨로가나 모범작품을 관찰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학습동기의 유발 학습과제에 집중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학습목표와 가치를 인식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수업목표 달성에 자신감을 가지면 학습이 촉진된다. 학습과정에서 성공적 경험을 계속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학습결손의 발견과 처치 학습자가 해당 과제의 선수학습 요소를 충분히 학습했을 때 목표달성이 용이하다. 선수학습에 대한 자신의 결손을 분명히 알 수 있을 때, 보충학습 효과를 촉진한다. 선수학.. 2023. 3. 23.
수업설계의 개념 수업설계란? 수업설계는 instructional design이라고 하며, 보통 수업설계라고도 표한한다. 수업설계는 수업의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업 설계는 학습자 개개인에게 특정한 학습성과가 나타나는 것을 뒷받침하고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의 원리와 이론, 그리고 공학적 원리와 기법을 수업과정에 적용하여 수업절차, 자료, 방법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개발하는 과정이다. 또한 수업목표를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성취시킬 수 있도록 수업 관련 변인과 요소를 체계적으로 조직 및 운영하며, 적절한 교수방법을 처방하기 위한 전반적인 수업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이상의 정의를 통해 알 수 있는 핵심 정의는 '효과성', '효율성', '체계적으로 조직 및 운영'과 '처방성'이 된다. 또한 다양한 구성.. 2023. 3. 22.
반응형